리눅스 서버에서 db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많아서 로컬에서 클라이언트 툴을 연결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툴은 평소에 자주 쓰던 HeidiSQL을 쓰기로 한다.

 

NHN에서 서버의 보안 그룹 관련된 내용을 보면 my_sql은 기본적으로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서버의 콘솔 페이지에서 보안그룹에 들어가서 포트와 접근 ip에 대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대시보드 > 자세히 보기 > 프로젝트 명 선택

 

보안 그룹 관리에서 추가하여 상태를 변경해 준다.

 

수신 / 사용자 정의 TCP / 3306 (MY-SQL) / IPv4 / 내 로컬 주소 (CIDR)

 

CIDR은 IP 주소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인데 0.0.0.0/0은 모든 IP 주소를 허용하는데 내 로컬 주소만 허용하기로 한다.

 

https://ipinfo.io/ 에서 확인하여 내 IP를 특정하여 입력해 준다.

 

이렇게 하면 콘솔에서 보안은 해결되었고 이제 서버의 mysql에 로그인해서 로컬에서 사용할 계정을 따로 추가하도록 한다.

 

CREATE USER 'user_id'@'user_ip' IDENTIFIED BY 'user_password';

 

계정은 접속할 수 있는 IP를 지정(내 로컬 ip)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이 계정에 권한을 준다.

 

GRANT ALL PRIVILEGES ON testdb.* TO 'user_id'@'user_ip';
FLUSH PRIVILEGES

 

위에서 만든 계정에 database_name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든 권한(.*)을 준다.

 

이제 이렇게 만든 계정으로 HeidiSQL에 로그인하면 

 

HeidiSQL

 

서버의 db를 GUI로 확인할 수 있어 편한 게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728x90
반응형

'Develop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NHN Cloud Hosting - Linux] FTP 연결  (0) 2025.03.01
vim 명령어  (0) 2025.03.01
리눅스 명령어 - ls  (0) 2025.03.01
[NHN Cloud Hosting - Linux] php 테스트  (1) 2025.03.01
[NHN Cloud Hosting - Linux] mysql 테스트  (0) 2025.03.01

먼저 vim이란 텍스트 편집기이며 파일을 편집할 때 사용하는 만큼 다양한 명령어들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유의미한 활용이 가능하다.

 

vim은 모드마다 수행할 수 있는 동작들이 구분되며 vim을 사용해서 파일을 열게 되면 일반 모드로 시작하게 된다.

 

일반 모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없으며 커서 이동, 삭제, 복사, 붙여 넣기 등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동작하는 명령어들이 있는데 커서 위치는 방향키로 이동할 수 있다.

 

x : 커서 위치의 문자 하나 삭제

dd : 현재 줄 삭제

d$ : 커서부터 현재 행의 끝까지 삭제

d0 : 커서부터 현재 행의 시작까지 삭제

d{motion} : {motion}이 가리키는 텍스트를 삭제 ({motion}은 이동 명령어)

ex) dw는 단어 삭제

 

yy : 현재 줄 복사

y {motion} : {motion}이 가리키는 텍스트 복사

ex) yw는 한 단어 복사

 

p : 복사한 텍스트를 커서 뒤에 붙여 넣기

P : 복사한 텍스트를 커서 앞에 붙여 넣기

u : 마지막 변경 취소 (undo)

Ctrl + r : 마지막 취소 작업 복구 (redo)

입력 모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는 상태로 진입한다. esc로 일반모드 전환할 수 있다.

 

i : 커서 앞에 텍스트 입력 시작

I : 현재 행의 맨 앞에서 입력 시작

a : 커서 뒤에서 텍스트 입력 시작

A : 현재 행의 맨 끝에서 입력 시작

o : 다음 줄에 새 행을 추가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O : 현재 줄 위에 새 행을 추가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h : 왼쪽으로 한 칸 이동

j : 아래로 한 줄 이동

k : 위로한 줄 이동

l :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w : 단어 단위로 앞으로 한 칸 이동

b : 단어 단위로 뒤로 한 칸 이동

0 : 현재 행의 시작으로 이동

$ : 현재 행의 끝으로 이동

gg : 파일의 첫 번째 줄로 이동

G : 파일의 마지막 줄로 이동

 

/검색어 : 파일 내에서 '검색어'를 검색, 다음 단어로 이동은 n

? 검색어 : 파일 내에서 '검색어'를 역방향으로 검색, 이전으로 이동은 N

 

ZZ : 저장하고 종료

 

명령모드

vim의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 를 입력해 진입할 수 있다.

 

:{숫자} : 지정한 줄로 이동 (:10은 10번 줄로 이동)

:w :현재 파일 저장

:w filename : 다른 이름으로 파일 저장

:q : vim 종료, 저장되지 않은 변경 사항이 있으면 경고가 뜬다.

:q! : 저장하지 않고 종료

:wq : 저장하고 종료

 

:set number : 줄 번호 표시

:set nonumber : 줄 번호 숨기기

:set ignorecase :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

:set noignorecase : 대소문자 구분하여 검색

 

:set autoindent : 자동 들여 쓰기 활성화 (현재 줄의 들여 쓰기를 자동으로 이전 줄의 들여쓰기와 맞춰주는 기능)

:set smartindent : 스마트 들여쓰기 활성화 (코드 구조에 따라 들여쓰기를 조정하는 기능)

 

:set paste : 붙여 넣기 모드 활성화 (들여쓰기가 깨지지 않도록)

:set nopaste : 붙여넣기 모드 비활성화

:help : vim 도움말 열기

 

:split or :sp : 수평 분할

:vsplit or :vsp : 수직 분할

 

이 외 이동명령

Ctrl + f : 한 페이지 아래로 이동

Ctrl + b : 한 페이지 위로 이동

Ctrl + d : 파일에서 절반 정도 아래로 이동

Ctrl + u : 파일에서 절반 정도 위로 이동

 

Ctrl + w, s : 창을 수평으로 나누고 커서 이동

Ctrl + w, v : 창을 수직으로 나누고 커서 이동

Ctrl + w, q : 분할된 창 닫기

728x90
반응형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를 생각날 때마다 정리하기로 한다.

 

ls

ls

 

list의 약자로 디렉터리 내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나열하는 데 사용된다.

 

기본 사용법인 ls는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나열한다.

 

다른 디렉터리의 목록을 보려면

 

ls /path/to/directory

 

ls 뒤에 확인하고자 하는 경로를 입력한다.

 

옵션

ls -l

파일의 권한, 소유자, 크기, 수정 시간 등 상세 정보와 함께 목록을 표시한다.

 

ls -a

숨겨진 파일(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

 

ls -lh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한다.

 

ls -R

하위 디렉터리까지 재귀적으로 목록을 나열한다.

 

ls -lt

수정 시간을 기준으로 파일을 정렬 (최근 수정된 파일 우선)

 

ls -lS

파일 크기를 기준으로 정렬 (큰 파일이 우선)

 

ls -lr

역순으로 정렬

 

ls -d */

디렉터리 자체만 표시 (디렉터리 내의 파일 목록은 표시되지 않음)

 

ls -1

한 줄에 하나의 파일만 표시

기본적으로 여러 열로 표시되지만, -1 옵션을 사용하면 한 줄에 하나씩 표시

 

man ls

이 외의 옵션들에 대한 매뉴얼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