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는 사칙연산의 수식과 같은 것들 뿐만 아니라 함수 콜, 변수 이름, 식별자, 연산자 등까지도 포함된다.
요점은 expression은 evaluate가 가능하여 하나의 값으로 나타나는것을 의미한다.
A = 1;
B = 2;
Arr = [1, 2, 3];
A + B // 3
Arr[2] = 3;
...
형태는 다르지만 모두 단일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expression이다.
Statement
진술, 성명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실행 가능한 최소의 독립적인 코드 단위를 말한다.
즉 컴파일러가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모든 구문을 Statement라 할 수 있고 문법적으로 적합한 모든 한 줄의 코드나 블록도 Statement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tatement는 하나 이상의 Expression과 키워드를 포함한다.
int a = 1; //expression
int b = 2; //expression
if (a == b) // if keyword
{
return true; //expression
}
정리
Expression은 하나의 값을 표현하는 식이며 하나 이상의 Expression과 키워드로 작성된 구문은 모두 Statement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Expression은 Statement라 볼 수 있지만 모든 Statement가 Expression은 아닌 두 관계는 부분집합이 된다.
- 메인함수는 반드시 static으로 선언되어야하며 클래스 또는 구조체가 static일 필요는 없다.
- 접근제한자는 public일 필요는 없다.
- 반환형은 void, int, Task, Task<int> 형을 가질 수 있다. (Task, Task<int> 의 경우 async 한정자 필요)
- 매개변수는 string[]을 가질 수 있다. 이 매개변수에는 명령어 인자가 포함된다.
선언
public static void Main() {}
public static int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ublic static int Main(string[] args) {}
public static async Task Main() {}
public static async Task<int> Main() {}
public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public static async Task<int> Main(string[] args) {}
//( public 접근 제한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필요조건은 아니다.)
반환형
메인 함수는 한정자나 매개변수의 상태에 따라 반환형을 선택할 수 있다.
//매개변수, await을 모두 사용하지 않음
static int Main()
static void Main()
//매개변수, awiat 모두 사용
static async Task<int> Main(string[] args)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매개변수를 사용하고 await만 사용하지 않음
static int Main(string[] args)
static aync Task Main()
//매개변수를 사용하지않고 await만 사용
static async Task<int> Main()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메인 함수의 반환값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메인 함수에서 반환되는 모든 값이 환경 변수에 저장된다.
저장된 환경 변수는 배치 파일의 ERRORLEVEL 또는 PowerShell의 $LastExitCode를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테스트
int 값 반환 확인
실행하면 0을 반환하도록 메인 함수를 만든다.
class MainReturnValTest
{
static int Main()
{
//...
return 0;
}
}
해당 스크립트가 위치한 폴더에서 PowerShell을 열어 스크립트를 실행시킨다.
dotnet run
if ($LastExitCode -eq 0) {
Write-Host "Execution succeeded"
} else
{
Write-Host "Execution Failed"
}
Write-Host "Return value = " $LastExitCode
비동기 메인 함수
메인 함수를 비동기로 선언하면 컴파일러는 항상 올바른 코드를 실행하는 이점이 있다.
프로그램의 진입점에서 Task 또는 Task<int>를 반환할때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코드에 선언된 진입점 메서드를 호출하는 새로운 진입점을 생성한다.
진입점의 이름을 $GeneratedMain이라고 할때 컴파일러는 이 진입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생성한다.
// 결과적으로 동일한 코드를 생성
static Task Main()
static void $GeneratedMain() => Main().GetAwaiter().GetResult();
static Task Main(string[])
private static void $GeneratedMain(string[] args) => Main(args).GetAwaiter().GetResult();
static Task<int> Main()
private static int $GeneratedMain()
static Task<int> Main(string[])
private static int $GeneratedMain(string[] args) => Main(args).GetAwaiter().GetResult();
테스트
async 반환값 확인
비동기 함수 호출을 하기 위해서 상용구 코드를 사용하거나 직접 await을 반환하는 메인함수를 만든다.
코드를 작성한 다음 동일하게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번에는 await으로 인한 동작이 추가된걸 확인할 수 있다.
명령문 인자
다음 방법들로 함수를 정의해서 메인 함수에 인자를 전달할 수 있다.
Main method code
Main signature
No return value, no use of awai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Return value, no use of await
static int Main(string[] args)
No return value, uses await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Return value, uses await
static async Task<int> Main(string[] args)
인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더 간단하게 함수를 선언할 수 있다.
Main method code
Main signature
No return value, no use of await
static void Main()
Return value, no use of await
static int Main()
No return value, uses await
static async Task Main()
Return value, uses await
static async TaskMint> Main()
또한 Environment.CommandLine 이나 Environment.GetCommandLineArgs를 통해서 콘솔이나 WinForms 응용 프로그램에서 어느 시점에나 인자에 접근할 수 있다. 명령문 인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메인 함수를 수정해야한다.
💡 메인 함수의 매개변수는 명령문 인자로 문자열 배열이다. 보통은 인자의 존재를 확인할때 문자열 속성인 Lenght 사용한다.
이때 문자열 배열은 null이 올 수 없기 때문에 null 검사하지 않고 Length로만 판단해도 안전하다.
문자열 인자는 Convert 클래스나 Parse 함수를 사용해서 숫자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long num = Int64.Parse(args[0]);
long num = long.Parse(args[0]);
long num = Convert.ToInt64(s);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예제
인자가 없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올바른 사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 ---How to using numeric argument---
// Factorial : 정수로 변환된 인자를 팩토리얼 계산후 반환
public class Functions
{
public static long Factorial(int n)
{
if ((n < 0) || (n > 20))
{
return -1;
}
long tempResult = 1;
for (int i = 1; i <= n; i++)
{
tempResult *= i;
}
return tempResult;
}
}
class Program
{
static int Main(string[] args)
{
if (args.Length == 0)
{
Console.WriteLine("Please enter a numeric argument.");
Console.WriteLine("Usage: Factorial <num>");
return 1;
}
int num;
bool test = int.TryParse(args[0], out num);
if (!test)
{
Console.WriteLine("Please enter a numeric argument.");
Console.WriteLine("Usage: Factorial <num>");
return 1;
}
long result = Functions.Factorial(num);
if (result == -1)
{
Console.WriteLine("Input must be >= 0 and <= 20.");
}
else
{
Console.WriteLine($"The Factorial of {num} is {result}.");
}
return 0;
}
}
예제를 테스트 하기위해서 Developer Command Prompt를 사용한다.
시작 메뉴에서 커맨드 창을 실행시킨다.
(프롬프트창은 굳이 위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Command 명령어 : 경로 이동 cd <path>, 드라이브 변경하는방법 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