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 다이얼

문제

상근이의 할머니는 아래 그림과 같이 오래된 다이얼 전화기를 사용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5622

 

전화를 걸고 싶은 번호가 있다면, 숫자를 하나를 누른 다음에 금속 핀이 있는 곳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려야 한다. 숫자를 하나 누르면 다이얼이 처음 위치로 돌아가고, 다음 숫자를 누르려면 다이얼을 처음 위치에서 다시 돌려야 한다.

 

숫자 1을 걸려면 총 2초가 필요하다. 1보다 큰 수를 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이보다 더 걸리며, 한 칸 옆에 있는 숫자를 걸기 위해선 1초씩 더 걸린다.

 

상근이의 할머니는 전화번호를 각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로 외운다. 즉, 어떤 단어를 걸 때, 각 알파벳에 해당하는 숫자를 걸면 된다. 예를 들어, UNUCIC는 868242와 같다.

 

할머니가 외운 단어가 주어졌을 때, 이 전화를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5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다이얼을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문제가 좀 복잡해 보인다. 2번부터 알파벳이 들어가 있고 7, 9에는 4개, 나머지 번호는 3개씩 번호가 있다.

 

 

 

단어가 주어질 때 걸리는 시간을 출력해야 하므로 대응하는 번호를 누르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해야 한다.

 

65 - 90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s;
    cin >> s;
    int sum_time = 0;
    for (int i = 0; i < s.length(); i++){
        int n = s[i] - 'A';
        if (n < 3) //2
            sum_time += 3;
        else if (n < 6) //3
            sum_time += 4;
        else if (n < 9) // 4
            sum_time += 5;
        else if (n < 12) // 5
            sum_time += 6;
        else if (n < 15) // 6
            sum_time += 7;
        else if (n < 19) // 7
            sum_time += 8;
        else if (n < 22) // 8
            sum_time += 9;
        else             // 9
            sum_time += 10;
    }
    cout << sum_time;
    return 0;
}

 

일단 조건에 맞춰서 코드를 작성해 본다.

 

조금 더 간소화시켜서 다이얼의 걸리는 시간 정보를 배열에 모두 담고 이 배열에서 걸리는 시간을 꺼내 쓰는 방법으로 풀어본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s;
    cin >> s;
    int dial_times[26] = {
        3, 3, 3,  // 2)A, B, C
        4, 4, 4,  // 3)D, E, F
        5, 5, 5,  // 4)G, H, I
        6, 6, 6,  // 5)J, K, L
        7, 7, 7,  // 6) M, N, O
        8, 8, 8, 8,  // 7) P, Q, R, S
        9, 9, 9,  // 8) T, U, V
        10, 10, 10, 10  // 9) W, X, Y, Z
    };
        
    int sum_time = 0;
    for (char c : s){
        sum_time += dial_times[c - 'A'];
    }
    cout << sum_time;
    return 0;
}

 

알파벳마다 대응하는 배열의 인덱스에 걸리는 시간 정보를 저장해서 조건문 없이 걸리는 시간을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

 

배열로 표현한 게 좀 더 보기 쉽고 수정도 편할 거 같아 보인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 = Console.ReadLine();
        int[] dial_times = new int[26]{
            3, 3, 3,       // 2) A, B, C
            4, 4, 4,       // 3) D, E, F
            5, 5, 5,       // 4) G, H, I
            6, 6, 6,       // 5) J, K, L
            7, 7, 7,       // 6) M, N, O
            8, 8, 8, 8,    // 7) P, Q, R, S
            9, 9, 9,       // 8) T, U, V
            10, 10, 10, 10 // 9) W, X, Y, Z
        };
        int sum_time = 0;
        foreach(char c in s){
            sum_time += dial_times[c - 'A'];
        }
        Console.WriteLine(sum_time);
    }
}

 

떠오른 방법 중에는 이렇게 하는 게 제일 간단한 거 같아서 다른 언어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해 본다.

 

Python

s = input()
dial_times = [
    3, 3, 3,       # 2) A, B, C
    4, 4, 4,       # 3) D, E, F
    5, 5, 5,       # 4) G, H, I
    6, 6, 6,       # 5) J, K, L
    7, 7, 7,       # 6) M, N, O
    8, 8, 8, 8,    # 7) P, Q, R, S
    9, 9, 9,       # 8) T, U, V
    10, 10, 10, 10 # 9) W, X, Y, Z
]
sum_time = 0
for c in s:
    sum_time += dial_times[ord(c) - ord('A')]
print(sum_time)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split('');
const dial_times = [
    3, 3, 3,       // 2) A, B, C
    4, 4, 4,       // 3) D, E, F
    5, 5, 5,       // 4) G, H, I
    6, 6, 6,       // 5) J, K, L
    7, 7, 7,       // 6) M, N, O
    8, 8, 8, 8,    // 7) P, Q, R, S
    9, 9, 9,       // 8) T, U, V
    10, 10, 10, 10 // 9) W, X, Y, Z
];
let sum_time = 0;
input.forEach(c => {
    sum_time += dial_times[c.charCodeAt(0) - 'A'.charCodeAt(0)];
});
console.log(sum_time);

 

11번 그대로 출력하기

문제

입력받은 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이 주어진다. 입력은 최대 100줄로 이루어져 있고,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공백,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각 줄은 100글자를 넘지 않으며, 빈 줄은 주어지지 않는다. 또, 각 줄은 공백으로 시작하지 않고, 공백으로 끝나지 않는다. 은 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입력받은 그대로 출력한다.

 

이번엔 상당히 간단한 문제가 주어진다. 입력받은 문자를 그대로 출력해야 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s;
    while (getline(cin, s)){
        cout << s << "\n";
    }
    return 0;
}

 

입력을 줄 단위로 구분해서 그대로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getline() 함수를 사용한다.

 

getline() 사용하면 줄 단위로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
        while ((s = Console.ReadLine()) != null){
            Console.WriteLine(s);
        }
    }
}

 

ReadLine()은 기본적으로 줄 단위로 입력받기 때문에 입력이 없을 때까지 받고 출력하고를 반복하면 된다.

 

Python

while True:
    try:
        s = input()
        if s == '':
            break
        print(s)
    except EOFError:
        break

 

입력이 없을 때 발생하는 EOFError를 처리하기 위해서 try ~ except를 사용한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trim().split('\n');
input.forEach(s => {
   console.log(s); 
});

 

문자열 챕터의 마지막 문제였는데 상당히 간단했다.

728x90
반응형

8번 단어의 개수

문제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에는 몇 개의 단어가 있을까? 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한 단어가 여러 번 등장하면 등장한 횟수만큼 모두 세어야 한다.

 

입력

첫 줄에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단어는 공백 한 개로 구분되며, 공백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문자열은 공백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있다.

 

출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에서 단어의 개수를 찾는 문제이다.

 

문자열을 공백으로 끊어서 배열에 저장하고 배열의 사이즈를 구하면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문자열이 공백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있다고 하니 문자열 양끝의 공백을 제거해 주는 동작이 필요할 거 같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vector<string> vec_str;
    string s;
    while(cin >> s){
        vec_str.push_back(s);
    }
    cout << vec_str.size();
    return 0;
}

 

C++의 입력은 단어 단위이다. 따라서 공백, 줄 바꿈 등의 입력이 발생하면 입력이 끊기고 다음 입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의 경우 입력이 없을 때까지 받으면서 배열에 저장하고 길이만 출력하면 단어의 개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 = Console.ReadLine();
        string[] str_arr = s.Trim().Split(' ', StringSplitOptions.RemoveEmptyEntries);
        Console.WriteLine(str_arr.Length);
    }
}

 

Split을 옵션 없이 사용했을 경우 채점에서 틀렸다는 결과가 나왔다.

 

아마도 문제에서 문자열의 시작과 끝이 공백인 경우가 있다고 했는데 아예 공백만 있는 문자열이 입력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 "

 

이 경우 그냥 Split을 하게 되면 빈 문자열이 배열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를 제외시켜 주는 StringSplitoptions.RemoveEmptyEntries를 해주어야 한다.

 

Python

s = input()
arr = s.strip().split()
print(len(arr))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split(' ');
const words = input.filter(word => word !== '');
console.log(words.length);

 

js에서도 마찬가지로 split을 할 경우 빈 문자열도 배열에 추가되기 때문에 배열을 만든 다음 빈 문자열을 제거해 주는 작업을 한다.

 

9번 상수

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릿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칠판에 적은 두 수 A와 B가 주어진다. 두 수는 같지 않은 세 자릿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상수의 대답을 출력한다.

 

입력된 두 수를 뒤집은 후 크기를 비교하여 큰 값을 출력해야 상근이의 대답과 동일하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n1, n2;
    cin >> n1 >> n2;
    reverse(n1.begin(), n1.end());
    reverse(n2.begin(), n2.end());
    int i_n1 = stoi(n1);
    int i_n2 = stoi(n2);
    if (i_n1 > i_n2)
        cout << i_n1;
    else
        cout << i_n2;
    return 0;
}

 

reverse로 문자열을 뒤집고 stoi로 숫자문자를 정수형으로 변환해서 값 비교 후 큰 값을 출력한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Trim().Split();
        string n1 = input[0];
        string n2 = input[1];
        char[] char_arr1 = n1.ToCharArray();
        Array.Reverse(char_arr1);
        n1 = new string(char_arr1);
        char[] char_arr2 = n2.ToCharArray();
        Array.Reverse(char_arr2);
        n2 = new string(char_arr2);
        int i_n1 = int.Parse(n1);
        int i_n2 = int.Parse(n2);
        if (i_n1 > i_n2)
            Console.WriteLine(i_n1);
        else
            Console.WriteLine(i_n2);
    }
}

 

 

문자열 뒤집기를 간단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Array.Reverse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이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배열이 아닌 불변타입인 string을 char [] 배열로 변환을 해야 한다. ToCharArray를 사용해서 문자열을 문자 배열로 변환 후 Array.Reverse로 배열을 역순으로 만든다. 그리고 뒤집어진 배열을 다시 문자열로 할당하여 원하는 문자열을 만든다.

 

 

Python

input_arr = input().split()
str_1 = input_arr[0]
str_2 = input_arr[1]
str_1 = str_1[::-1]
str_2 = str_2[::-1]
val_1 = int(str_1);
val_2 = int(str_2);
if val_1 > val_2:
    print(val_1)
else:
    print(val_2)

 

파이썬에서도 문자열은 배열이 아닌 불변 타입이다. 따라서 배열에서 사용가능한 reverse 메서드가 없기 때문에 문자열을 리스트로 바꾸고 뒤집은 다음 다시 문자열로 바꾸는 방법도 있지만 문자열에서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역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 ');
const val_1 = parseInt(input[0].split('').reverse().join(''), 10);
const val_2 = parseInt(input[1].split('').reverse().join(''), 10);
if (val_1 > val_2)
    console.log(val_1);
else
    console.log(val_2);

 

문자열을 바로 reverse 할 수 없기 때문에 split으로 배열로 만든 다음 뒤집고 join으로 이어 붙인다. 그리고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비교 후 출력한다.

 

이렇게 이어서 쓰면 순차적으로 동작해서 한 번에 처리가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5번 숫자의 합

문제

N개의 숫자가 공백 없이 쓰여있다. 이 숫자를 모두 합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숫자의 개수 N (1 ≤ N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 숫자 N개가 공백 없이 주어진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숫자 N개의 합을 출력한다.

 

숫자의 입력을 받고 합산을 하는 문제이다. 문자열 챕터인 이유는 공백 없이 주어지는 숫자를 문자열로 받아서 인덱스로 접근하여 숫자를 하나씩 처리하는 걸 의도한 거 같다.

 

C++

문제를 풀기 전 문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다.

문자를 저장하는 char 타입은 실제로 저장되는 정보는 아스키코드로 정수형이다. 이 정보가 IDE나 콘솔의 출력 메커니즘에 의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문자형태로 치환되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정수 데이터를 char에 저장하면 문자로, 문자 데이터를 int에 저장하면 정수형으로 서로 암시적으로 형변환이 발생하여 값이 저장된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char 타입에 대한 개념은 유사하지만 문자 인코딩과 처리 방식이 다를 수 있다.

 

char c = '1' - 0 - 1; 
// '1' - 0 여기서 정수 연산을 시도함에 따라서 정수 타입으로 변환된다.
// '1' 의 아스키코드인 49, 0을 뺀 값은 49이다.
// 따라서 숫자 문자에 - 0을 하면 해당문자의 아스키코드값이 반환되는 것이다.
// 49 - 1 = 48, 이 정수를 다시 char 타입에 저장하면 
// 해당 정수값은 아스키코드로 변환되어 '0'이 된다.
cout << c; // '0' 출력

int i = '1' - '0';
// 이 경우 연산을 시도하면서 '1'과 '0'은 각각 대응하는 아스키코드 값으로 변환되고
// 49 - 48 = 1, 따라서 i 에는 1의 값이 저장되면서 
// 숫자 문자에 - '0'을 연산하게되면 해당 숫자문자를 정수로 얻을 수 있게된다.
cout << i; // 1 출력

// 정수형을 바로 저장할 수 있다.
char c = 126;
cout << c; // '~' 출력

 

만약 char 타입에 정수를 저장하는데 해당 정수에 대응하는 아스키코드의 값이 없다면 시스템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잘못된 문자 또는 빈 문자가 표시되거나 컴파일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string도 내부 구조는 char의 배열이기 때문에 char와 동일하게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int sum = 0;
    string nums;
    cin >> n >> nums;
    for (int i = 0; i < n; i++){
        int num = nums[i] - '0';
        sum += num;
    }
    cout << sum;
    return 0;
}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sum = 0;
        int n = int.Parse(Console.ReadLine());
        string nums = Console.ReadLine();
        for (int i = 0; i < n; i++){
            int num = nums[i] - '0';
            sum += num;
        }
        Console.WriteLine(sum);
    }
}

 

Python

n = int(input())
nums = input()
result = 0
for i in range(n):
    num = int(nums[i])
    result += num;
print(f"{result}");

 

파이썬에서는 - '0'  방법은 사용할 수 없고 대신 문자를 int()를 사용해서 변환하면 해당 문자를 그대로 숫자로 변환한다.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는 함수 ord()가 별도로 존재하는 이유와 연관이 있는듯하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split('\n');
const n = parseInt(input[0], 10);
const nums = input[1];
let sum = 0;
for (let i = 0; i < n; i++){
    const num = nums[i] - '0';
    // const num = parseInt(num[i]);
    sum += num;
}
console.log(sum);

 

js에서는 - '0'을 사용해서 문자를 정수로 변환할 수 있고 parseInt로 타입을 변환해도 정수로 변환된 값을 얻을 수 있다.

 

js도 별도의 아스키코드를 얻는 함수 charCodeAt()가 있기 때문에 타입 변환 시 숫자 문자 그대로의 정수로 변환되는듯하다.

 

6번 알파벳 찾기

문제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 S가 주어진다. 각각의 알파벳에 대해서,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1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 S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100을 넘지 않으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각각의 알파벳에 대해서, a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 b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 z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만약, 어떤 알파벳이 단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1을 출력한다. 단어의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위치이고, 두 번째 글자는 1번째 위치이다.

 

단어에서 알파벳이 등장하는 위치를 저장해야 하는데 알파벳의 총개수는 26개이므로 26 사이즈의 배열을 만들어서 각 인덱스마다 알파벳을 대응시킨다. 그리고 입력받은 문자열을 검사해서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 배열에 저장해 두고 출력한다.

 

알파벳을 인덱스를 특정하는 것이 문제인데 입력되는 단어가 소문자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아스키코드를 활용해서 특정할 수 있을 것 같다. 'a' ~ 'z'는 아스키코드의 97 ~ 122까지이다.

 

따라서 문자에서 - 97을 하면 a 정보를 0 인덱스에 저장할 수 있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s;
    int arr[26];
    fill(arr, arr+26, -1);
    cin >> s;
    int len = s.length();
    for (int i = 0; i < len; i++){
        int n = s[i] - 97;
        if (arr[n] == -1){
            arr[n] = i;
        }
        else{
            continue;
        }
    }
    for (int i : arr){
        cout << i << " ";
    }
    return 0;
}

 

알파벳의 배열인 arr을 26 사이즈로 선언하고 -1로 초기화해 둔다.

 

그리고 입력된 문자열 s의 문자를 순회하면서 배열에 상태를 검사해서 이미 등장한 경우에는 넘어가고 첫 등장인 경우만 저장한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rr = Enumerable.Repeat(-1, 26).ToArray();
        string s = Console.ReadLine();
        for (int i = 0; i < s.Length; i++){
            int n = s[i] - 'a';
            if (arr[n] == -1)
                arr[n] = i;
            else
                continue;
        }
        Console.WriteLine("{0}", string.Join(" ", arr));
    }
}

 

- 97은 - 'a'와 동일하다.

 

Python

s = input()
arr = [-1] * 26;
for i in range(len(s)):
    n = ord(s[i]) - 97
    if arr[n] == -1:
        arr[n] = i
print(" ".join(map(str, arr)))

 

배열의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아스키코드로 변환해서 인덱스를 찾는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
const arr = Array(26).fill(-1);
for (let i = 0; i < input.length; i++){
    const c = input[i].charCodeAt(0) - 97; // - 'a'.charCodeAt(0) 가능
    if (arr[c] === -1)
        arr[c] = i;
}
console.log(arr.join(' '));

 

js에서는 - 'a'를 사용할 경우 charCodeAt(0)으로 아스키코드 값으로 변환하고 사용하면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7번 문자열 반복

문제

문자열 S를 입력받은 후에, 각 문자를 R번 반복해 새 문자열 P를 만든 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즉, 첫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고, 두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는 식으로 P를 만들면 된다. S에는 QR Code "alphanumeric" 문자만 들어있다. 

 

QR Code "alphanumeric" 문자는 0123456789 ABCDEFGHIJKLMNOPQRSTUVWXYZ\$%*+-./:이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0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반복 횟수 R(1 ≤ R ≤ 8), 문자열 S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S의 길이는 적어도 1이며, 20글자를 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P를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t;
    cin >> t;
    for (int i = 0; i < t; i++){
        int r;
        string s;
        cin >> r >> s;
        string result;
        for (int j = 0; j < s.length(); j++){
            for (int k = 0; k < r; k++){
                result += s[j];
            }
        }
        cout << result << "\n";
    }
    return 0;
}

 

문자마다 여러 번 작성하기 위해서 반복문이 여러 번 중첩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append() 함수를 사용하면 더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t;
    cin >> t;
    for (int i = 0; i < t; i++){
        int r;
        string s;
        cin >> r >> s;
        string result;
        for (char c : s){
            result.append(r, c);
        }
        cout << result << "\n";
    }
    return 0;
}

 

 

append를 사용해서 result 문자열에 r만큼 c 문자를 이어 붙인다. 이렇게 한 번의 반복문을 줄여서 표현할 수 있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Text;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t = int.Parse(Console.ReadLine());
        for (int i = 0; i < t; i++){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Split();
            int r = int.Parse(input[0]);
            string s = input[1];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each(char c in s){
                sb.Append(c, r);
            }
            Console.WriteLine(sb.ToString());
        }
    }
}

 

Append를 사용하기 위해서 StringBuilder를 사용한다.

 

Python

t = int(input())
for _ in range(t):
    data = input().split()
    r = int(data[0])
    s = data[1]
    result = ''.join(c * r for c in s)
    print(result)

 

result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join을 활용해서 표현이 가능하다.

c를 r만큼 문자열에 추가하는데 for c in s를 통해서 s 문자열 안의 c 문자는 순차적으로 다음 문자를 가리킨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trim().split('\n');
const t = parseInt(input[0]);
for (let i = 1; i <= t; i++) {
    const [r, s] = input[i].split(' ');
    const repeatCount = parseInt(r, 10);
    let result = '';
    for (const c of s) {
        result += c.repeat(repeatCount);
    }
    console.log(result);
}

 

char.repeat(count)를 사용해서 문자를 반복해서 작성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1번 문자와 문자열

문제

단어 S와 정수 i가 주어졌을 때, S의 i번째 글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영어 소문자와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 S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최대 1,000이다. 둘째 줄에 정수 i가 주어진다. ( 1 i |S|)

 

출력

S의 i번째 글자를 출력한다.

 

주어진 문자열에서 i번째 문자가 무엇인지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s;
    int i;
    cin >> s;
    cin >> i;
    cout << s[i - 1];
    return 0;
}

 

string도 문자 배열처럼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 = Console.ReadLine();
        int i = int.Parse(Console.ReadLine());
        Console.Write($"{s[i - 1]}");
    }
}

 

C#의 string도 마찬가지로 배열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Python

s = input()
i = int(input())
print(s[i - 1])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s = input[0];
const i = parseInt(input[1]);
console.log(s[i - 1]);

 

2번 단어 길이 재기

문제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입력받아, 그 길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영어 소문자와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최대 100이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단어의 길이를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string s;
    cin >> s;
    cout << s.length();
    return 0;
}

 

length 함수를 사용해서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 = Console.ReadLine();
        Console.Write(s.Length);
    }
}

 

C#은 Length 프로퍼티로 문자열의 길이에 접근할 수 있다.

 

Python

s = input()
print(len(s))

 

len(string)으로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할 수 있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s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
console.log(s.length);

 

trim()은 입력된 문자열 양 끝의 공백을 제거하는데 이걸 사용하지 않았을 때 틀렸다는 채점 결과가 나왔다.

정확한 입력을 받기 위해서 trim을 사용해 주는 게 좋을 것 같다.

 

js에서는 string.length 프로퍼티로 길이를 구할 수 있다.

 

3번 문자열

문제

문자열을 입력으로 주면 문자열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에 하나의 문자열이 주어진다. 문자열은 알파벳 A~Z 대문자로 이루어지며 알파벳 사이에 공백은 없으며 문자열의 길이는 1000보다 작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주어진 문자열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연속하여 출력한다.

 

케이스의 문자열의 처음과 끝 문자를 출력해 준다. 문자가 하나인 경우는 한 문자가 두 번 출력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t;
    cin >> t;
    string s;
    for (int i = 0; i < t; i++){
        cin >> s;
        int len = s.length();
        cout << s[0] << s[len - 1] << "\n";
    }
    return 0;
}

 

문자열의 길이를 사용해서 마지막 인덱스를 구할 수 있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t = int.Parse(Console.ReadLine());
        for (int i = 0; i < t; i++){
            string s = Console.ReadLine();
            int len = s.Length;
            Console.WriteLine($"{s[0]}{s[len-1]}");
        }
    }
}

 

Python

t = int(input())
for i in range(t):
    s = input()
    l = len(s)
    print(f"{s[0]}{s[l - 1]}")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split('\n');
const t = parseInt(input[0]);
for (let i = 1; i <= t; i++){
    const s = input[i];
    const l = s.length;
    console.log(`${s[0]}${s[l - 1]}`);
}

 

4번 아스키코드

문제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 0-9중 하나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코드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 0-9 중 하나가 첫째 줄에 주어진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코드 값을 출력한다.

 

입력된 문자를 아스키코드로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char c;
    cin >> c;
    int ascii_val = static_cast<int>(c);
    cout << ascii_val;
    return 0;
}

 

문자를 int로 타입을 변경하면 아스키코드로 치환된다.

 

또는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char c;
    cin >> c;
    int ascii_val = c - 0;
    cout << ascii_val;
    return 0;
}

 

C++에서는 문자에 정수 0을 빼주면 해당 문자의 아스키코드를 얻을 수 있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har c = (char)Console.Read();
        int ascii_val = (int)c;
        Console.Write(ascii_val);
    }
}

 

Console.ReadLine/Read()는 문자열로만 반환되기 때문에 문자로 할당할 때 char 캐스트를 해야 한다.

(int)로 문자를 정수형으로 변환하면 아스키코드를 구할 수 있다.

 

Python

c = input();
print(ord(c));

 

파이썬은 문자를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는 함수 ord()가 제공된다.

 

Node.js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readline.question('', c => {
    const ascii_val = c.charCodeAt(0);
    console.log(`${ascii_val}`);
    readline.close();
});

 

js에서는 char.charCodeAt(0)으로 문자를 아스키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번 과제 안 내신 분

문제

X대학 M교수님은 프로그래밍 수업을 맡고 있다. 교실엔 학생이 30명이 있는데, 학생 명부엔 각 학생별로 1번부터 30번까지 출석번호가 붙어 있다. 

 

교수님이 내준 특별과제를 28명이 제출했는데, 그중에서 제출 안 한 학생 2명의 출석번호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총 28줄로 각 제출자(학생)의 출석번호 n(1 ≤ n ≤ 30)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출석번호에 중복은 없다.

 

출력

출력은 2줄이다. 1번째 줄엔 제출하지 않은 학생의 출석번호 중 가장 작은 것을 출력하고, 2번째 줄에선 그다음 출석번호를 출력한다.

 

배열 사이즈는 학생 수만큼, 각 인덱스에는 다음 입력에서 들어오는 과제를 제출한 학생의 출석번호 - 1의 인덱스에 체크를 해준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vector<int> num_vec(30);
    for (int i = 0; i < 28; i++){
        int num;
        cin >> num;
        num_vec[num - 1] = 1;
    }
    int count = 1;
    for (int i : num_vec){
        if (i != 1){
            cout << count << "\n";
        }
        count++;
    }
    return 0;
}

 

과제를 제출한 학생의 인덱스는 1의 값으로 체크해 두고 출력 시 확인한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List<int> num_list = new List<int>(new int[30]);
        for (int i = 0; i < 28; i++){
            int num = int.Parse(Console.ReadLine());
            num_list[num - 1] = 1;
        }
        int count = 1;
        foreach(int i in num_list){
            if (i != 1)
                Console.WriteLine(count);
            count++;
        }
    }
}

 

Python

num_list = [0] * 30
for i in range(28):
    num = int(input())
    num_list[num - 1] = 1
count = 1
for i in range(30):
    if num_list[i] != 1:
        print(f"{count}")
    count += 1

 

8번 나머지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 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열 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입력받은 수를 42로 나누고 나머지를 저장해 둔다. 이 나머지 중에서 서로 다른 것들만 출력한다.

입력되는 수의 범위는 0이 아닌 1000 이하의 정수이다. 배열에 나머지를 저장할 때 요소에 해당 나머지가 없을 때만 저장해 둔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um, remain;
    vector<int> num_vec;
    for (int i = 0; i < 10; i++){
        cin >> num;
        remain = num % 42;
        if (find(num_vec.begin(), num_vec.end(), remain) == num_vec.end()){
            num_vec.push_back(remain);
        }
    }
    cout << num_vec.size();
    return 0;
}

 

find를 사용해서 배열에 해당 요소가 있는지 검색 후 없으면 추가한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List<int> num_list = new List<int>();
        for (int i = 0; i < 10; i++){
            int num = int.Parse(Console.ReadLine());
            int remain = num % 42;
            if (!num_list.Contains(remain)){
                num_list.Add(remain);
            }
        }
        Console.WriteLine(num_list.Count);
    }
}

 

List는 Contains를 사용해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Python

num_list = []
for i in range(10):
    num = int(input());
    remain = num % 42
    if remain not in num_list:
        num_list.append(remain)
print(len(num_list))

 

파이썬의 경우 조건문의 문법에서 리스트의 요소를 검색해 볼 수 있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map(Number);
const list = [];
for (let i = 0; i < 10; i++){
    const num = input[i];
    const remain = num % 42;
    if (!list.includes(remain)){
        list.push(remain);
    }
}
console.log(list.length);

 

includes를 사용해서 배열을 탐색하고 push로 값을 넣는다.

 

9번 바구니 뒤집기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순서대로 적혀 있다. 바구니는 일렬로 놓여 있고, 가장 왼쪽 바구니를 1번째 바구니, 그다음 바구니를 2번째 바구니,..., 가장 오른쪽 바구니를 N번째 바구니라고 부른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들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순서를 역순으로 바꿀 때, 순서를 역순으로 만들 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에 들어있는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다. 

 

바구니의 순서를 어떻게 바꿀지 주어졌을 때, M번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 다음, 바구니에 적혀있는 번호를 가장 왼쪽 바구니부터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드는 방법이 주어진다. 방법은 i j로 나타내고, 왼쪽으로부터 i번째 바구니부터 j번째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다는 뜻이다. (1 ≤ i ≤ j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바구니의 순서를 바꾼다.

 

출력

모든 순서를 바꾼 다음에, 가장 왼쪽에 있는 바구니부터 바구니에 적혀있는 순서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N크기의 배열의 특정 인덱스 범위의 순서를 M번 뒤집는 작업을 하고 최종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numeric>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m, i, j;
    cin >> n >> m;
    vector<int> num_vec(n);
    iota(num_vec.begin(), num_vec.end(), 1);
    for (int k = 0; k < m; k++){
        cin >> i >> j;
        reverse(num_vec.begin() + i - 1, num_vec.begin() + j);
    }
    for (int l : num_vec){
        cout << l << " ";
    }
    return 0;
}

 

reverse를 사용해서 배열의 특정 인덱스 범위에서 요소를 뒤집는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 m, i, j;
        int[] info = Console.ReadLine().Split().Select(int.Parse).ToArray();
        n = info[0];
        m = info[1];
        List<int> num_list = Enumerable.Range(1, n).ToList();
        for (int k = 0; k < m; k++){
            int[] data = Console.ReadLine().Split().Select(int.Parse).ToArray();
            i = data[0] - 1;
            j = data[1] - 1;
            num_list.Reverse(i, j - i + 1);
        }
        Console.WriteLine(string.Join(" ", num_list));
    }
}

 

Reverse 함수를 사용해서 특정한 범위의 인덱스 값을 뒤지어준다. 이때 인수는 시작 인덱스와 개수이다. 

 

Python

info_list = list(map(int, input().split()))
n = info_list[0]
m = info_list[1]
num_list = list(range(1, n + 1))
for k in range(m):
    idxs = list(map(int, input().split()))
    i = idxs[0] - 1
    j = idxs[1] - 1
    num_list[i:j+1] = num_list[i:j+1][::-1]
print(" ".join(map(str, num_list)))

 

num_list [i:j+1] = num_list [i:j+1][::-1] 

 

파이썬의 슬라이싱을 사용해서 배열의 인덱스를 특정해서 순서를 바꾸는 방법이다.

 

배열의 순서를 뒤집는 방법에는 몇 가지 있다.

 

reverse()

# reverse()
num_list = [1, 2, 3, 4, 5]
num_list.reverse()
print(num_list)  # [5, 4, 3, 2, 1]

 

reverse를 사용하면 원본 리스트의 요소가 뒤집어진다.

 

슬라이싱

# Slicing
num_list = [1, 2, 3, 4, 5]
reversed_list = num_list[::-1]
print(reversed_list)  # [5, 4, 3, 2, 1]

 

슬라이싱을 사용하면 해당 리스트의 요소를 뒤집은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한다.

 

reversed()

num_list = [1, 2, 3, 4, 5]
reversed_list = list(reversed(num_list))
print(reversed_list)  # [5, 4, 3, 2, 1]

 

reversed 함수를 사용하면 리스트의 역순으로 정렬된 반복자를 반환한다. 이 반환값을 다시 리스트로 변환하면 뒤집어진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fo_lis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n,m] = info_list[0].split(' ').map(Number);
let num_list = Array.from({ length: n }, (_, index) => index + 1);
for (k = 1; k <= m; k++){
    const [i, j] = info_list[k].split(' ').map(Number);
    const start = i - 1;
    const end = j - 1; 
    num_list.splice(start, end - start + 1, ...num_list.slice(start, end + 1).reverse());
}
console.log(num_list.join(' '));

 

 

splice 함수는 배열의 특정 범위를 제거하거나 추가할 때 사용한다. 

array.splice(start, deleteCount, item1, item2, ...)

 

start는 필수 매개변수로 deleteCount를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start부터 인덱스 끝까지 제거한다.

 

item 매개변수들은 선택 사항으로 start 인덱스 뒤에 item을 배열에 추가한다.

 

10번 평균

문제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 이 값을 M이라고 한다. 그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M*100'으로 고쳤다. 

 

예를 들어,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70*100이 되어 71.43점이 된다. 

 

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

 

출력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2 이하이면 정답이다.

 

기말고사를 망친 세준이의 성적을 조작한다.

 

최고 점수를 사용해서 점수를 조작하고 조작된 점수들의 평균을 내서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numeric>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cin >> n;
    vector<float> num_vec(n);
    for (int i = 0; i < n; i++){
        float score;
        cin >> score;
        num_vec[i] = score;
    }
    auto max_iter = max_element(num_vec.begin(), num_vec.end());
    float max_val = *max_iter;
    for (int i = 0; i < n; i++){
        num_vec[i] = num_vec[i] / max_val * 100;
    }
    float sum = accumulate(num_vec.begin(), num_vec.end(), 0.0f);
    cout << sum / n;
    return 0;
}

 

본래의 성적을 저장하고 최대 값을 구한 뒤 조작한 성적을 다시 배열에 저장하고 합산하여 평균을 구한다.

 

accumulate 함수를 사용해서 배열 요소들의 합을 구한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 = int.Parse(Console.ReadLine());
        List<float> num_list = Console.ReadLine().Split().Select(float.Parse).ToList();
        float max_val = num_list.Max();
        for (int i = 0; i < n; i++){
            num_list[i] = num_list[i] / max_val * 100;
        }
        float sum = num_list.Sum();
        Console.WriteLine(sum / n);
    }
}

 

List.Sum() 함수는 요소의 합산을 구할 수 있다.

 

Python

n = int(input())
num_list = map(float, input().split(' '))
max_val = max(num_list);
for i in range(n):
    num_list[i] = num_list[i] / max_val * 100
sum_val = sum(num_list)
print(f"{sum_val / n}")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n = parseInt(input[0]);
const num_list = input[1].split(' ').map(Number);
const max = Math.max(...num_list);
for (let i = 0; i < n; i++){
    num_list[i] = num_list[i] / max * 100;
}
const sum = num_list.reduce((acc, curr) => acc + curr, 0);
console.log(sum / n);

 

Math.max를 사용할 때는 스프레드 연산자로 매개변수를 전달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4번 최댓값

문제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74, 40, 85, 61 이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입력

첫째 줄부터 아홉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자연수는 100 보다 작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vector<int> vec;
    while(cin >> n){
        vec.push_back(n);
    }
    auto iter = max_element(vec.begin(), vec.end());
    int index = distance(vec.begin(), iter);
    cout << *iter << "\n" << index + 1;
    return 0;
}

 

distance 함수를 사용해서 iter가 해당 벡터에서 몇 번째 인덱스인지 구한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List<int> num_list = new List<int>();
        for (int i = 0; i < 9; i++){
            int val = int.Parse(Console.ReadLine());
            num_list.Add(val);
        }
        int max = num_list.Max();
        int index = num_list.IndexOf(max);
        Console.WriteLine($"{max}\n{index+1}");
    }
}

 

Python

num_list = []
for i in range(9):
    num_list.append(int(input()))
max_val = max(num_list)
index = num_list.index(max_val)
print(max_val)
print(index + 1)

 

[]로 가변 배열을 선언한다. 이 배열은 기본 타입인 list와 동일한 타입의 객체이다.

 num_list = list()와 동일한 객체

이 객체는 apeend를 사용해서 값을 추가할 수 있고 index로 요소의 인덱스를 검색할 수 있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num_lis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trim().split('\n').map(Number);
const max_num = Math.max(...num_list);
const index = num_list.indexOf(max_num);
console.log(max_num);
console.log(index + 1);

 

indexOf 메서드로 최댓값의 인덱스를 찾을 수 있다.

 

5번 공 넣기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가장 처음 바구니에는 공이 들어있지 않으며, 바구니에는 공을 1개만 넣을 수 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넣으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공을 넣을 때, 공을 넣을 바구니 범위를 정하고, 정한 바구니에 모두 같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넣는다. 만약, 바구니에 공이 이미 있는 경우에는 들어있는 공을 빼고, 새로 공을 넣는다. 공을 넣을 바구니는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공을 어떻게 넣을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넣은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공을 넣는 방법이 주어진다. 각 방법은 세 정수 i j k로 이루어져 있으며, i번 바구니부터 j번 바구니까지에 k번 번호가 적혀 있는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 5 6은 2번 바구니부터 5번 바구니까지에 6번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1 ≤ i ≤ j ≤ N, 1 ≤ k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공을 넣는다.

 

출력

1번 바구니부터 N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의 번호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공이 들어있지 않은 바구니는 0을 출력한다.

 

나열된 바구니들을 배열 각 바구니들 인덱스로 보면 된다. 공에는 번호가 지정되어 있고 규칙에 맞춰 공을 바구니에 넣는다.

 

입력의 첫 줄에서 바구니의 개수 N과 바구니에 공을 담는 규칙 M개가 들어온다.

 

그다음에 M개의 줄에 각각 규칙이 들어오는데 순서대로 i j k 각 수는 i , j는 바구니의 범위, k는 넣을 공의 번호이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m, i, j, k;
    cin >> n;
    cin >> m;
    vector<int> num_vec(n, 0);
    for (int l = 0; l < m; l++){
        cin >> i >> j >> k;
        fill(num_vec.begin() + i - 1, num_vec.begin() + j, k);
    }
     for (int num : num_vec) {
        cout << num << " ";
    }
    return 0;
}

 

컨테이너는 바구니의 개수만큼 사이즈를 만들고 값은 0으로 초기화해서 값이 없을 때 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컨테이너의 범위 내에 특정 값을 채우기 위해서 fill 함수를 사용한다.

시작과 끝 범위, 채울 값을 인자로 받는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input = Console.ReadLine().Split().Select(int.Parse).ToArray();
        int n, m, i, j, k;
        n = input[0];
        m = input[1];
        List<int> num_list = new List<int>(new int[n]);
        for (int l = 0; l < m; l++){
            int[] rules = Console.ReadLine().Split().Select(int.Parse).ToArray();
            i = rules[0] - 1;
            j = rules[1] - 1;
            k = rules[2];
            for (int o = i; o <= j; o++){
                num_list[o] = k;
            }
        }
        
        foreach(int val in num_list){
            Console.Write($"{val} ");
        }
    }
}

 

리스트의 경우 특정 범위 내의 요소에 값을 넣을 때 사용할만한 메서드가 없어 이중 반복문으로 처리했다.

 

Python

input_val = list(map(int, input().split()))
n = input_val[0]
m = input_val[1]
num_list = [0] * n
for l in range(m):
    rules = list(map(int, input().split()))
    i = rules[0]
    j = rules[1]
    k = rules[2]
    for index in range(i - 1, j):
        num_list[index] = k
print(" ".join(map(str, num_list)))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n, m] = input[0].split(' ').map(Number);
let num_list = Array(n).fill(0);
for (let l = 1; l <= m; l++){
    const [i, j, k] = input[l].split(' ').map(Number);
    for (let idx = i - 1; idx < j; idx++){
        num_list[idx] = k;
    }
}
console.log(num_list.join(' '));

 

Array(n)로 n크기의 배열을 선언하고 fill(0)으로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6번 공 바꾸기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바구니에는 공이 1개씩 들어있고, 처음에는 바구니에 적혀있는 번호와 같은 번호가 적힌 공이 들어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바꾸려고 한다. 도현이는 공을 바꿀 바구니 2개를 선택하고, 두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서로 교환한다. 

 

공을 어떻게 바꿀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바꾼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공을 교환할 방법이 주어진다. 각 방법은 두 정수 i j로 이루어져 있으며, i번 바구니와 j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교환한다는 뜻이다. (1 ≤ i ≤ j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공을 교환한다.

 

출력

1번 바구니부터 N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의 번호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N 사이즈의 배열에 요소들은 index+1 값으로 초기화한 상태로 시작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numeric>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m, i, j;
    cin >> n >> m;
    vector<int> num_vec(n);
    iota(num_vec.begin(), num_vec.end(), 1);
    for (int k = 0; k < m; k++){
        cin >> i >> j;
        swap(num_vec[i - 1], num_vec[j - 1]);
    }
    for (int num : num_vec){
        cout << num << " ";
    }
    return 0;
}

 

iota 함수를 사용해서 컨테이너의 각 요소를 인덱스  + 1의 값으로 초기화한다.

algorithm의 swap 함수를 사용해서 컨테이너의 두 인덱스의 값을 교환한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input = Console.ReadLine().Split().Select(int.Parse).ToArray();
        int n = input[0];
        int m = input[1];
        List<int> num_list = new List<int>(Enumerable.Range(1, n));
        
        for (int l = 0; l < m; l++){
            int[] data = Console.ReadLine().Split().Select(int.Parse).ToArray();
            int i = data[0] - 1;
            int j = data[1] - 1;
            int tmp = num_list[i];
            num_list[i] = num_list[j];
            num_list[j] = tmp;
        }
        foreach(int num in num_list){
            Console.Write(num + " ");
        }
    }
}

 

new List <int>(Enumerable.Range(1, n)) 으로 각 요소를 1부터 n으로 초기화한다.

 

Python

input_str = list(map(int, input().split()))
n = input_str[0]
m = input_str[1]
num_list = list(range(1, n + 1))
for _ in range(m):
    i, j = map(int, input().split())
    num_list[i - 1], num_list[j - 1] = num_list[j - 1], num_list[i - 1]
print(" ".join(map(str, num_list)))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초기화할 때 range(1, n + 1) 초기화 시 값을 인덱스 + 1로 값을 넣는다.

 

출력 시 현재 리스트는 정수타입이므로 문자열로 변환 후 값마다 띄어쓰기를 추가해서 출력한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split('\n');
const [n, m] = input[0].split(' ').map(Number);
let num_list = Array.from({ length : n }, (_, i) => i + 1);
for (let k = 1; k <= m; k++){
    const [i, j] = input[k].split(' ').map(Number);
    [num_list[i - 1], num_list[j - 1]] = [num_list[j - 1], num_list[i - 1]];
}
console.log(num_list.join(' '));

 

Array.from({length : n}, (_, i) => i+1) 이렇게 인덱스 + 1로 각 요소들의 값을 초기화할 수 있다.

값을 교환하는 코드는 파이썬과 동일한 문법으로 우선 좌항과 우항의 오른쪽에 위치한 배열들의 값이 평가되면서 추출된다. 그리고 추출된 값들이 왼쪽에 대응하는 변수에 할당되면서 요소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728x90
반응형

3번 최소, 최대

문제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이때,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주어진다. 모든 정수는 -1,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정수 N개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C++

vector를 사용해서 풀어본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cin >> n;
    vector<int> vec(n);
    for (int i = 0; i < n; i++){
        cin >> vec[i];
    }
    vector<int>::iterator min_iter = min_element(vec.begin(), vec.end());
    vector<int>::iterator max_iter = max_element(vec.begin(), vec.end());
    cout << *min_iter << " " << *max_iter;
    return 0;
}

 

vector는 가변 배열이지만 사이즈를 특정해서 고정 크기로 사용할 수 있다.

algorithm을 사용해서 배열 안에서 min, max 요소를 찾아서 반복자를 반환받아서 값을 출력한다.

min, max_element 함수가 반복자를 반환하는 이유는 중복된 값을 저장할 필요 없이 컨테이너의 요소를 직접 참조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의 종류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복자에 접근해서 컨테이너의 요소를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cin >> n;
    vector<int> vec;
    for (int i = 0; i < n; i++){
        int val;
        cin >> val;
        vec.push_back(val);
    }
    vector<int>::iterator min_iter = min_element(vec.begin(), vec.end());
    vector<int>::iterator max_iter = max_element(vec.begin(), vec.end());
    cout << *min_iter << " " << *max_iter;
    return 0;
}

 

가변적으로 사용할 때는 push_back을 사용하면 된다.

 

C#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 = int.Parse(Console.ReadLine());
        string[] input_arr = Console.ReadLine().Split(' ');
        List<int> num_list = new List<int>();
        for (int i = 0; i < n; i++){
            num_list.Add(int.Parse(input_arr[i]));
        }
        int min = num_list.Min();
        int max = num_list.Max();
        Console.WriteLine($"{min} {max}");
    }
}

 

C#에서는 List <T>를 사용할 수 있다. List는 Collections.Generic에 포함되어 있고 Min, Max를 사용하기 위해서 Linq도 사용한다.

 

리스트에 값을 넣는 과정도 Select와 ToList를 사용하면 한 번에 초기화할 수 있다.

string[] input_arr = Console.ReadLine().Split(' ');
List<int> num_list = new List<int>();
for (int i = 0; i < n; i++){
    num_list.Add(int.Parse(input_arr[i]));
}

//================================================
List<int> numbers = Console.ReadLine().Split(' ').Select(int.Parse).ToList();

 

Linq는 이외에도 배열이나 컬렉션 등을 처리할 때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강력한 기능인만큼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Python

n = int(input())
nu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min_val = min(num_list)
max_val = max(num_list)
print(f"{min_val} {max_val}")

 

파이썬은 list()를 사용할 수 있다.

map은 해당 함수가 반복 가능한 객체의 각 요소에 대해 적용된 결과를 반환하는 map객체를 생성하는데 이 객체는 필요에 따라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map을 사용해서 입력되는 값을 공백으로 구분하고 각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여 반환되는 map으로 list를 초기화한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n = parseInt(input[0]);
const nums = input[1].split(' ').map(Number);
let min_val = nums[0];
let max_val = nums[0];
for (int i = 1; i < n; i++){
    if (nums[i] < min_val)
        min_val = nums[i]
    else if (nums[i] > max_val)
        max_val = nums[i]
}
console.log(`${min_val} ${max_val}`);

 

js도 map을 사용해서 배열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 입력받은 값을 Number함수로 각 요소를 숫자로 변환한 map을 반환한다.

 

최대 최소를 구하는 방법은 함수를 쓰지 않고 각 요소들의 크기를 작으면 min, 크면 max로 비교하여 구할 수 있다.

 

js에서도 최대 최솟값을 구하는 Math.min, Math.max를 지원한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n = parseInt(input[0]);
const nums = input[1].split(' ').map(Number);
const min_val = Math.min(...nums);
const max_val = Math.max(...nums);
console.log(`${min_val} ${max_val}`);

 

728x90
반응형

1번 개수 세기

문제 

총 N개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 v가 몇 개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1 ≤ N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다. 셋째 줄에는 찾으려고 하는 정수 v가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정수와 v는 -100보다 크거나 같으며, 100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N개의 정수 중에 v가 몇 개인지 출력한다.

 

배열에 저장하고 조건에 맞는 값을 출력한다.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v, count;
    cin >> n;
    int arr[n];
    for (int i = 0; i < n; i++){
        cin >> arr[i];
    }
    
    cin >> v;
    for (int i = 0; i < n; i++){
        if (arr[i] == v)
            count++;
    }
    cout << count;
    return 0;
}

 

입력될 크기인 n 만큼의 크기의 배열을 선언하고 반복문으로 배열에 값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v의 입력을 받아 반복문으로 배열을 순회하면서 같은 값인 경우 count를 증가시키고 최종 개수를 출력한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 = int.Parse(Console.ReadLine());
        int[] arr = new int[n];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Trim();
        string[] input_arr = input.Split(' ');
        for (int i = 0; i < n; i++){
            arr[i] = int.Parse(input_arr[i]);
        }
        int v = int.Parse(Console.ReadLine());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n; i++){
            if (arr[i] == v)
                count++;
        }
        Console.WriteLine(count);
    }
}

 

Python

n = int(input())
values = input().strip().split(' ')
arr = [0] * n
for i in range(n):
    arr[i] = int(values[i]);
v = int(input())
count = 0;
for i in range(n):
    if arr[i] == v:
        count += 1
print(count)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n = parseInt(input[0]);
const values = input[1].split(' ');
const v = parseInt(input[2]);
let count = 0;
const val_arr = new Array(n);
for (let i = 0; i < n; i++){
    val_arr[i] = parseInt(values[i]);
}
for (let i = 0; i < n; i++){
    if (val_arr[i] === v)
        count++;
}
console.log(count);

 

더 효율적인 방법도 있지만 1차원 배열을 사용해서 푸는걸 중점으로 두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변수와 반복문이 사용되기도 한다.

 

2번 X보다 작은 수

문제

정수 N개로 이루어진 수열 A와 정수 X가 주어진다. 이때, A에서 X보다 작은 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X가 주어진다. 

(1 ≤ N, X ≤ 10,000) 둘째 줄에 수열 A를 이루는 정수 N개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모두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X보다 작은 수를 입력받은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X보다 작은 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번을 풀었던 것처럼 배열을 사용하는데 중점을 둔다.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cin.tie(NULL);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int n, x;
    cin >> n;
    cin >> x;
    int arr[n];
    for (int i = 0; i < n; i++){
        cin >> arr[i];
    }
    for (int a : arr){
        if (a < x){
            cout << a << " ";
        }
    }
    return 0;
}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회할 때는 for (int a : arr)를 사용할 수 있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
        string[] input_arr = input.Split(' ');
        int n = int.Parse(input_arr[0]);
        int x = int.Parse(input_arr[1]);
        input = Console.ReadLine();
        input_arr = input.Split(' ');
        int[] arr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arr[i] = int.Parse(input_arr[i]);
        }
        
        foreach(int a in arr){
            if (a < x){
                Console.Write($"{a} ");
            }
        }
    }
}

 

Python

n, x = map(int, input().split())
str_arr = input().split();
arr = [0] * n;
for i in range(n):
    arr[i] = int(str_arr[i])
for i in range(n):
    if arr[i] < x :
        print(f"{arr[i]} ", end="")

 

출력 시 print는 기본적으로 줄 바꿈을 실행하므로 end=""로 설정해서 줄 바꿈을 제거한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split('\n');
const [n, x] = input[0].split(' ').map(Number);
const values = input[1].split(' ').map(Number);
let result = [];
values.forEach(value => {
    if (value < x) {
        result.push(value);
    }
});

console.log(result.join(' '));

 

각각의 입력 값들을 정리하고 결과를 따로 배열에 저장한 뒤 일괄적으로 출력한다.

 

1, 2번 문제들은 고정 크기의 배열을 사용해서 풀었지만 가변 배열인 vector 나 list 등을 사용하면 더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후에는 가변 배열을 사용해서 풀어보기로 한다.

728x90
반응형

11번 A+B - 5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입력의 마지막에는 0 두 개가 들어온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이번에는 얼마나 반복할지 횟수를 정해주지 않고 마지막 케이스를 통해 루프를 종료하는 조건으로 사용하면 된다.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cin.tie(NULL);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while(true){
        int a, b;
        cin >> a >> b;
        if (a + b == 0) break;
        else
            cout << a + b << "\n";
    }
}

 

두 값이 모두 0인 경우 반복문을 종료한다.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using (StreamWriter writer = new StreamWriter(Console.OpenStandardOutput())){
            while(true){
                int a, b;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
                string[] arr = input.Split(' ');
                a = int.Parse(arr[0]);
                b = int.Parse(arr[1]);
                if (a + b == 0) break;
                else
                    Console.WriteLine(a + b);
            }
        }
    }
}

 

Python

while True:
    input_str = input()
    arr = input_str.split(' ')
    a = int(arr[0])
    b = int(arr[1])
    if a + b == 0:
        break
    print(a + b)

 

파이썬의 while문 사용법을 숙지한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trim().split('\n');
for (const line of input){
    const [a, b] = line.split(' ').map(Number);
    if (a + b === 0) break;
    console.log(a + b);
}

 

js는 입력을 한 번에 받은 다음 줄 별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while이 아닌 for를 사용해서 처리한다.

 

12번 A+B - 4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반복문 챕터의 마지막 문제이다. 종료 조건을 어떠한 것도 주지 않은 상태로 입력이 끝날 때까지 반복하여 처리해야 한다.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a, b;
    cin.tie(NULL);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while(cin >> a >> b){
        if (a + b == 0)
            break;
        cout << a + b << "\n";
    }
    return 0;
}

 

cin >> a >> b를 조건으로 체크하여 입력이 더 이상 없는 경우를 판단한다.

 

조건으로 사용하게 되면 EOF(End of File)에 도달하여 더 이상 입력이 없거나 잘못된 값이 입력된 경우 반복문이 종료된다.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using (StreamWriter writer = new StreamWriter(Console.OpenStandardOutput())){
            while (true){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
                if (input == null) break;
                string[] arr = input.Split(' ');
                int a = int.Parse(arr[0]);
                int b = int.Parse(arr[1]);
                Console.WriteLine(a+b);
            }
        }
    }
}


C#에서 string의 초기화값은 null이기 때문에 input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null과 비교하여 검사한다.

 

Python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
arr = input().splitlines()
for line in arr:
    a, b = map(int, line.split())
    print(a+b)

 

기존 input 함수를 표준 입력으로 변경하여 전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 다음 배열을 읽어서 처리하여 입력된 값들만 처리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입력이 더 이상 없을 때 발생하는 에러를 체크해서 루프를 종료시킬 수 있다.

 

while True:
    try:
        input_str = input()
    except EOFError:
        break
    arr = input_str.split()
    a = int(arr[0]);
    b = int(arr[1]);
    print(a+b)

 

에러가 발생하는 지점을 예외처리하기 위해서 try ~ except를 사용한다. 입력이 더 이상 없을 때는 EOFError를 리턴한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trim().split('\n');
for (const line of input){
    const[a, b] = line.split(' ').map(Number);
    console.log(a+b);
}

 

모든 입력을 줄 바꿈으로 끊어서 배열로 저장한다. 그리고 이 배열을 순회하면서 각각의 케이스를 처리한다.

728x90
반응형

7번 A+B - 7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Case #x: "를 출력한 다음, A+B를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번호는 1부터 시작한다.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t;
    cin.tie(NULL);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 >> t;
    for (int i = 0; i < t; i++){
        int a, b;
        cin >> a >> b;
        cout << "Case #" << i + 1 << ": " << a + b << "\n";
    }
    
    return 0;
}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t = int.Parse(Console.ReadLine());
        Console.SetOut(new StreamWriter(Console.OpenStandardOutput()));
        for (int i = 0; i < t; i++){
            int a, b;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
            string[] arr = input.Split(' ');
            a = int.Parse(arr[0]);
            b = int.Parse(arr[1]);
            Console.WriteLine($"Case #{i+1}: {a+b}");
        }
        Console.Out.Flush();
    }
}

 

Python

import sys
t = int(input());
for i in range(t):
    input_str = sys.stdin.readline().rstrip()
    arr = input_str.split(' ');
    a = int(arr[0])
    b = int(arr[1])
    print(f"Case #{i+1}: {a+b}")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split('\n');
const t = parseInt(input[0], 10);
const output = [];
for (let i = 1; i <= t; i++){
    const[a,b] = input[i].split(' ').map(Number);
    output.push(`Case #${i}: ${a+b}`);
}
console.log(output.join('\n'));

 

readFileSync에서 utf8로 명시적으로 인코딩해주지 않으면 반환되는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Buffer 객체이므로 문자열 메서드와 함께 사용할 때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8번 A+B - 8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Case #x: A + B = C" 형식으로 출력한다. x는 테스트 케이스 번호이고 1부터 시작하며, C는 A+B이다.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t;
    cin.tie(NULL);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 >> t;
    for (int i = 0; i < t; i++){
        int a, b;
        cin >> a >> b;
        cout << "Case #" << i + 1 << ": " << a << " + " << b << " = " << a+b << "\n";
    }
    return 0;
}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t = int.Parse(Console.ReadLine());
        Console.SetOut(new StreamWriter(Console.OpenStandardOutput()));
        for (int i = 0; i < t; i++){
            string input = Console.ReadLine();
            string[] arr = input.Split(' ');
            int a = int.Parse(arr[0]);
            int b = int.Parse(arr[1]);
            Console.WriteLine($"Case #{i+1}: {a} + {b} = {a+b}");
        }
        Console.Out.Flush();
    }
}

 

Python

import sys
t = int(input())
for i in range(t):
    input_str = sys.stdin.readline().rstrip()
    arr = input_str.split()
    a = int(arr[0])
    b = int(arr[1])
    print(f"Case #{i+1}: {a} + {b} = {a+b}")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trim().split('\n');
const t = parseInt(input[0], 10);
const output = [];
for (let i = 1; i <= t; i++){
    const[a,b] = input[i].split(' ').map(Number);
    output.push(`Case #${i}: ${a} + ${b} = ${a+b}`);
}
console.log(output.join('\n'));

 

7, 8번 문제들은 출력 형식만 다르고 앞에 풀었던 문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크게 설명할 내용은 없다.

 

9번 별 찍기 - 1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C++

string(size_t count, char ch)를 사용해서 count 만큼 문자를 출력하도록 만들어 본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cin.tie(NULL);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 >> n;
    for (int i = 1; i <= n; i++) {
        string stars(i, '*');
        cout << stars << "\n";
    }
    return 0;
}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 = int.Parse(Console.ReadLine());
        using(StreamWriter writer = new StreamWriter(Console.OpenStandardOutput())){
            for (int i = 1; i <= n; i++){
                string stars = new string('*', i);
                Console.WriteLine(stars);
            }
        }
    }
}

 

C#은 new string(char, count)로 사용이 가능하다. 단일 문자를 반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자열이 아닌 문자를 사용해야 한다는 걸 유의한다.

 

기존 코드를 좀 더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서 using을 사용해서 내부에서 동작이 끝나면 자동으로 객체가 해제되도록 한다. 자세히 정리하자면 StreamWriter의 객체의 Dipose 메서드는 내부적으로 Flush를 호출하는데 using을 사용할 경우 객체가 해제될 때 Dispose 메서드가 자동으로 호출되면서 Flush도 처리된다. 따라서 별도로 Flush를 해줄 필요가 없어진다.

 

Python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stars = '*' * i;
    print(stars)

 

파이썬은 문자에 횟수만큼 곱연산을 해서 개수만큼 표기가 가능하다.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utf8').trim();
const count = parseInt(input);
for (let i = 1; i <= count; i++){
    const stars = '*'.repeat(i);
    console.log(stars);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char.repeat으로 문자를 개수만큼 입력할 수 있다.

 

10번 별 찍기 - 2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하지만, 오른쪽을 기준으로 정렬한 별(예제 참고)을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9번 문제의 변형이다. N만큼 찍힌 별을 기준으로 이전 별들에게 공백이 추가로 필요하며 이 공백은 n - i 개가 된다.

 

C++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
    cin >> n;
    for (int i = 1; i <= n; i++){
        string space(n - i, ' ');
        string stars(i, '*');
        string result = space + stars;
        cout << result << "\n";
    }
    return 0;
}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 = int.Parse(Console.ReadLine());
        using(StreamWriter writer = new StreamWriter(Console.OpenStandardOutput())){
            for (int i = 1; i <= n; i++){
                string space = new string(' ', n - i);
                string stars = new string('*', i);
                string result = space + stars;
                Console.WriteLine(result);
            }     
        }
    }
}

 

Python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space = ' ' * (n - i);
    stars = '*' * i;
    result = space + stars;
    print(result);

 

Node.js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 'utf8').trim();
const n = parseInt(input);
for (let i = 1; i <= n; i++){
    const space = ' '.repeat(n - i);
    const stars = '*'.repeat(i);
    const result = space + stars;
    console.log(result);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