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

'외부의'라는 뜻을 가지는 External의 약자로 외부에 선언된 함수 또는 객체임을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부란 C# 코드 이외의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뜻하며 DLL이나 C/C++ 등으로 작성된 함수를 말한다.

이런 외부에서 작성된 코드 즉, C# 및. Net 프레임 워크에서 사용되지 않는 코드 다시 말해서 CLR에서 관리되지 않는 코드를 unmanaged code라고 하는데 이러한 unmanaged code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interop 기술이 필요하다.

 

Interop 정리글

 

간략하게 Interop은 다른 언어나 플랫폼에서 작성된 코드를 호출하거나 받는 기술로 COM, P/Invoke, C++/CLI 등이 대표적으로 있는데 extern 키워드는 이러한 함수나 객체가 외부의 것임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C#에서 많이 사용하는 P/Invoke 방식은 DllImport arttribute와 함께 사용한다.

이 경우 메서드는 반드시 static으로 선언되어야 한다.

// Microsoft AVI File support library
[DllImport("avifil32.dll")] // Interop, P/Invoke
private static extern void AVIFileInit();

 

extern alias

.Net 어셈블리에서 다른 버전의 동일한 어셈블리의 참조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et 프로젝트에서 어셈블리의 참조는 using이나 Imports를 사용하여 참조하는데 만약 서로 다른 버전의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경우에는 컴파일러가 어떤 버전을 사용해야 하는지 구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 extern alias 키워드를 사용한다.

 

동일한 어셈블리를 버전별로 참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어셈블리를 특정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정시키는 방법으로는 각 어셈블리의 별칭을 지정하는 방법과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Alias

어셈블리의 별칭을 지정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Visual Studio 

비주얼 스튜디오의 솔루션 탐색기에서 별칭을 수정할 수 있다.

Assembly > 우클릭 속성 > Aliases 수정

2. 프롬프트 창

프롬프트에서 어셈블리에 별칭을 부여할 수 있다.

/r:GridV1=grid.dll
/r:GridV2=grid20.dll

 

각각의 어셈블리에 외부에서 사용할 별칭 GridV1과 GridV2가 지정된다.

 

이렇게 별칭을 지정해 주면 extern 키워드를 사용하여 별칭을 참조하면 동일한 어셈블리를 구분해서 참조가 가능해진다.

extern alias GridV1;
extern alias GridV2;
// can using namespace
using Class1V1 = GridV1::Namespace.Class1;
using Class1V2 = GridV2::Namespace.Class1;

 

Name

별칭을 지정하지 않고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으로도 참조가 가능하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별칭을 수정했던 설정창을 다시 켜보면 상단에 이름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칭이 지정되지 않아야 하므로 별칭을 지우고 이름을 수정한다.

 

그 후에 C#에서 Type.GetType 메서드를 사용하면 어셈블리에서 Type을 가져올 수 있는데 이때 어셈블리의 전체 이름을 사용하여 Type을 가져오면 해당 어셈블리를 특정해서 참조할 수 있게 된다.

Type myType = Type.GetType("MyNamespace.MyType, MyAssembly");

 

728x90
반응형

'Program Languag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operability  (0) 2023.02.02
Managed, Unmanaged, Native Code  (0) 2023.02.02
C# 키워드 : delegate, event, action  (0) 2023.01.31
C# 상수 키워드 : const  (0) 2023.01.31
C# 비동기화 키워드 : async, await  (0) 2023.01.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