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무료 플랜만 찾아다니며 사용했는데 그러다 보니 제약도 많고 내가 원하는 것들을 써보지도 못하고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테스트나 간단하게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저렴한 서버를 찾다가 NHN에 적당한 가격을 찾게 되어 사용해 보기로 한다.
서버의 사양은 가격만큼 낮지만 간단하게 개발용으로 쓰면서 공부하기에는 부족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단 큰 금액이 아니기 때문에 즉시 결제하고 바로 활용해 보기로 한다.
웹 환경은 php가 필요하기 때문에 선택한다. 그에 필요한 Apache도 함께 설치된다.
접근 포트를 미리 선택해 놓으면 기본 보안 그룹 설정이 반영된다고 하는데 리눅스 터미널은 무조건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서 선택해 주었고 FTP 포트는 쓰긴 할 것 같아서 선택했다.
이 부분은 나중에 보안그룹에서 변경이나 추가해서 설정이 가능하다고 하니 일단 이렇게 진행하기로 한다.
이후로 FTP 정보, DB 정보를 입력하고 혹시 모르니 따로 메모해 둔다.
마지막으로 키페어(서버 접속 인증 키)에 대한 안내가 나오는데 이게 있어야 서버에 SSH 연결을 할 수 있고 보안을 위해서 신청 시 잘 보관하지 않았다가 이걸 잃어버리면 서버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기존 키페어가 없으니 적당한 이름을 넣어주고 새로 만들어 생성된 키를 다운로드하여서 잘 보관하도록 한다.
신청하고 나면 5분 이내로 서버가 생성되고 클라우드 호스팅 콘솔 페이지에서 서버의 ip나 사용량 등 세부적인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서버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긴 하지만 그건 이미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원격으로 접속한 것뿐이었다.
이렇게 서버를 열어본 게 처음이고 거기다 리눅스를 사용해 본 적도 없기 때문에 앞으로 서버를 사용하면서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와 문제들과 마주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나중에 이 정보들이 다시 필요한 상황이 왔을 때 참고가 되도록 자세하게 잘 정리해 보도록 해야겠다.
'Develop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ls (0) | 2025.03.01 |
---|---|
[NHN Cloud Hosting - Linux] php 테스트 (1) | 2025.03.01 |
[NHN Cloud Hosting - Linux] mysql 테스트 (0) | 2025.03.01 |
[NHN Cloud Hosting - Linux] SSH로 서버 접속 (0) | 2025.03.01 |
SSH와 RDP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