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 사분면 고르기
문제
흔한 수학 문제 중 하나는 주어진 점이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사분면은 아래 그림처럼 1부터 4까지 번호를 갖는다. "Quadrant n"은 "제 n사분면"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좌표가 (12, 5)인 점 A는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양수이므로 제1사분면에 속한다. 점 B는 x좌표가 음수이고 y좌표가 양수이므로 제2사분면에 속한다. 점의 좌표를 입력받아 그 점이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x좌표와 y좌표는 모두 양수나 음수라고 가정한다.
입력
첫 줄에는 정수 x가 주어진다. (−1000 ≤ x ≤ 1000; x ≠ 0) 다음 줄에는 정수 y가 주어진다. (−1000 ≤ y ≤ 1000; y ≠ 0)
출력
점 (x, y)의 사분면 번호(1, 2, 3, 4 중 하나)를 출력한다.
x 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y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구분해서 조건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x, y;
cin >> x;
cin >> y;
char result;
if (x > 0)
{
if (y > 0)
result = '1';
else
result = '4';
}
else{
if (y > 0)
result = '2';
else
result = '3';
}
cout << result;
return 0;
}
C#
using System;
class Program{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inputX = Console.ReadLine();
string inputY = Console.ReadLine();
int x = int.Parse(inputX);
int y = int.Parse(inputY);
char result;
if (x > 0)
{
if (y > 0)
result = '1';
else
result = '4';
}
else{
if (y > 0)
result = '2';
else
result = '3';
}
Console.WriteLine(result);
}
}
앞의 문제들과 다르게 각 줄에 값들이 들어온다. 따라서 입력을 따로 두 번 받아서 값을 저장한다.
Python
x = int(input());
y = int(input());
if x > 0:
if y > 0:
result = '1';
else:
result = '4';
else:
if y > 0:
result = '2';
else:
result = '3';
print(result);
파이썬에서 중첩 조건문을 쓸 때는 들여 쓰기로 구분한다.
Node.js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 process.stdin,
output : process.stdout
});
let x, y;
let result;
rl.question('', (answerX)=>{
x = parseInt(answerX, 10);
rl.question('', (answerY)=>{
y = parseInt(answerY, 10);
if (x > 0){
if (y > 0)
result = '1';
else
result = '4';
}
else{
if (y > 0)
result = '2';
else
result = '3';
}
console.log(result);
rl.close();
});
});
각 각의 입력을 받고 처리한다.
rl.close()가 호출되면 입력된 값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호출 전에 결과를 출력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Coding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코딩테스트 #11. 조건문 6 (0) | 2024.07.26 |
---|---|
백준 코딩테스트 #10. 조건문 5 (0) | 2024.07.26 |
백준 코딩테스트 #8. 조건문 3 (0) | 2024.07.26 |
백준 코딩테스트 #7. 조건문 2 (0) | 2024.07.26 |
백준 코딩테스트 #6. 조건문 1 (0) | 2024.07.24 |